[심심한 주식] 40. 삼양통상, 조광피혁 (1) - 물 들어온다, 노 저어라! feat. 유니켐 2021.03.25. (현타의 기업분석)
목차
반응형
시총(억)
2019 / 3763
주가(원)
67,300 / 56,600
PER
4.05/ 19.15
PBR
0.51/ 0.64
배당수익률(%)(작년배당)
1.86/ 0.53
ROE(%)(작년 기준)
12.5/ 3.34
[삼영통상 / 조광피혁. 네이버금융 기준] 조광피혁의 재무비율은 다시 계산되어야 한다. 2부 글 참조.
형들 안녕!! 오늘도 심심한주식, 기업분석의 시간이야. 이번에는 모피를 가공해서 가죽을 만드는 회사 '삼양통상'과 '조광피혁'을 간단히 분석해 볼 거야~ 분석요청에 구독자분께서 올려주신 기업이야! 2/15일에 올리셨는데.. 오늘은 3/24일.. 후.. 죄송합니다아.. 분석요청 글에도 있듯이 삼양통상과 조광피혁은 세트로 분석하는 게 좋겠다 싶더라고~ 자 그럼 출발~
[삼양통상 분석요청] 후.. 제법 긴 시간이 흘렀네여.. 그간 안녕하셨지여..?
형들이 분석요청에 올려주는 기업들은 비록 좀(이 아니라 많이..) 늦더라도 그리고 내 실력이 부족하더라도 어쨌든 최대한 포스팅 해볼려구해. 좋은 기업은 나보다 형들이 훨씬 더 많이 알고 있는 것 같더라고. 다 같이 보는게 좋으니 포스팅 해보자는 거지. 그러니 부담없이 분석요청 남겨줘!! 거 좋은 거는 다 같이 공유합니다! 이익공유제!
▲ 삼양통상, 조광피혁 그리고 유니켐
조광피혁은 일찍이 가치투자자에게 매우 유명한 종목이지. 삼양통상도 떠오르는 가치주인 것 같고(아닌가? 이미 오래전부터 유명한 듯? 가치투자 가방끈이 짧아서.. ㄷㄷ). 이 둘 기업은 같은 듯하면서 또 많이 다른데 그런 점들을 하나씩 알아보자 이 말이얏! 그리고 동종업계에 유니켐이라는 회사도 있어. 이 회사는 앞의 두 업체와는 결이 약간 달라. 그래도 이 회사도 같이 한번 살펴보자고~ 그러니깐 삼양통상과 조광피혁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유니켐은 맛만 본다는 것.
▲ 공통점
피혁산업은 셋 모두 비슷하기 때문에 삼양통상의 사업보고서를 기준으로 살펴보자.
[사업의 개요] 삼양통상
3가지를 보면 된다.
1. 피혁산업은 동물의 표피를 소재로 혁제 원단을 생산하는 제혁업. 주로 소의 가죽을 사용해서 원단으로 가공하는 사업을 영위 중.
2. 최근 중국에서 생상된 피혁제품의 공세와 채산성 악화. 과거에는 의류, 신발 등에 사용하는 원단도 많았으나 저가공세로 중국에 물량이 넘어감. 피혁제품의 제품의 크기에 비례하여 부가가치가 커짐. 따라서 신발, 의류는 비교적 저부가가치, 자동차 시트, 가구용 가죽 등은 고부가가치. 그리고 핸드백은 케바케. 명품백은 고부가가치 일 듯?
3. 그리하여 삼양통상은 고부가가치 제품에 집중 중. 특히 자동차 시트와 핸드백이 대부분. 가구용 가죽은 앞으로 개발한다는 것인가?
[매출실적] 삼양통상. 대부분이 내수.
매출실적을 보면 대략 수출이 16%, 내수가 84%를 구성하고 있다. 수출은 주로 핸드백용 원단이고, 내수는 대부분 현기차향 자동차 시트용 원단이다. 결국 매출의 핵심은 현대/기아차가 얼마나 잘 팔리는가!! 회사의 명운을 현기차가 쥐고 있다 흐흐. 특히나 제네시스 g70, g80에 원단을 공급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작년 국내에서 제네시스의 판매가 증가하면서 수혜를 받은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정확한 수치와 계약 차종은 당사에서 공개하지 않고 있는 상황. 올해 북미향 gv시리즈의 수출 증가를 기대하고 있는데 여기에 원단을 공급하는지는 확인하지 못했다. 아숩.
최근 소비의 양극화로 인해서 고급차의 소비도 늘고 있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같은 차종에서 상위트림(상위 옵션)의 선택이 늘어나게 되는데 이러한 소비의 양극화에도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여담이지만, 제네시스 시리즈의 대시보드 가죽이 작은 원단을 쪼개어서 박은 형태가 아니라 대쉬보드 전체를 하나의 원단으로 덮는다고 한다(실물은 확인 못 함. 들은 썰). 반면 BMW5 시리즈를 보면 대쉬보드 구역을 쪼개서 한 땀 한 땀의 스티치와 함께 가죽 원단이 덮여있다(이건 확인함!). 즉, 현기차의 실내 인테리어 고급화와 함께 더 비싼 원단을 쓴다는 것! (머스크형! 테슬라 자동차 실내도 좀 업그레이드 하자. 삼양통상에 컨택해! 여기 원단 고급지고 이쁘더라~)
[제네시스 G80] 이쁘다.. 사고 싶다.. 이 고급스러운 가죽..
한 가지 정말 아쉬운 점은 전기차의 보급과 관련한 것인데, 전기차는 기름차(?)에 비해서 단가가 비싸고, 그만큼 고급 내부재를 사용할 것 같기는 한데(뇌피셜), 친환경의 컨셉 때문에 인조가죽 등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 아이오닉5가 그렇다. 흠.. 그럼 인조가죽 업체에 투자를? feat. 디케이앤디??
[아이오닉5 내장재] 친황경 내장재를 대폭 추가. /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이러한 친환경 소재의 가죽 사용의 증가로 인해서 장기적은 성장성에 의문이 남는다. 그래서 저평가?
▲ 3사의 차이점 1 - 매출 및 손익
삼양통상, 조광피혁 그리고 유니켐은 기본적으로 영위하는 사업은 비슷하지만 재무구조와 최근의 매출 및 손익에서는 제법 차이가 난다.
삼양통상에 대한 2019년 키움증권의 리포트가 하나 있다. 살펴보자.
[삼양통상 성장성에 대한 리포트] 2019년 키움증권.
리포트에서 제시하는 삼양통상의 이익성장의 핵심은 두 가지. 바로 원재료비의 하락과 mix의 개선
1. 원재료비의 하락 - 신흥국 중심으로 육류의 소비가 증가하여 소의 도축이 증가하였고, 따라서 원재료인 원피의 공급이 증가하였으며, 신발 등에서 합성피혁의 사용이 늘어나 원피의 수요가 감소함. 따라서 공급 증가와 수요 감소로 인한 원재료가의 하락이 발생함. 이건 19년도의 이야기이고 20년도에는 19년 대비 소폭 상승하여 유지 중이다. 따라서 원재료가의 하락이 구조적 이익 성장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
[삼양통상 원재료 가격 변동 추이] 19년도에 최저가를 찍은 이후로 소폭 상승 상태에서 유지 중.
2. mix의 개선 - 국내 현기차의 상위 모델 판매 증가로 인한 수혜를 입은 듯 보인다. 아래 표를 보면,
[삼양통상 손익] 매출의 증가와 원가의 감소, 그리고 이익의 증가가 보임.
58기 대비해서 59기와 60기 약간의 매출 성장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며 동시에 원가의 감소도 보인다. 원가율의 하락 말고. 작년에는 공정이 개선이 있었던 것인가? 아니면 mix의 개선인가 싶기도 하고. 주석을 더 까 봐야겠지만 그렇게 중요해 보이지 않으니 지면(???) 관계상 패스. 베짱베짱 결과적으로 매출이 늘고 원가가 감소했으니 영익은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문제는 이게 구조적이지 않다는 것이지. 그러니 올해도 이렇게 성장할 거라고 기대하면 안 된다. 유지만 해도 대박임.
이렇게 이익이 증가한 당사와는 달리, 경쟁사(조광피혁, 유니켐)는 다른 움직임을 보인다. 먼저 조광피혁부터.
[조광피혁 손익] 매출과 원가의 감소.
와우.. 삼양통상과 완전히 다른 손익을 보여준다. 20년도 매출 973억으로 18년도 1276억에서 꾸준히 감소 중. 위에서 설명한 원재료비의 하락으로 인해 매출원가가 함께 감소한 덕분에 이익은 소폭 증가.물 들어올 때 노를 젓지 못하고 있는 안타까운 모습. 그렇다고 조광피혁인 나쁜 종목은 아니다. 여긴 자산운용사 뺨치니깐.. 뒤에서 다시 보자.
이제 마지막으로 유니켐의 손익을 살펴보자.
[유니켐 실적] 또 다른 모습.
오.. 우선 매출의 증가가 눈에 띈다. 마치 조광피혁의 매출 감소분을 그대로 흡수한 것 같은 모습. 실제로 그런지는 모른다. 나 같은 숫자쟁이는 그냥 숫자 보고 상상하는 거지.. 그런데 웃긴 게.. 이 회사는 물 들어오는데(원재료비의 하락) 노를 뒤로 젓나... 원가율의 감소가 전혀 보이지 않고.. 덕분에 이익의 증가가 미미하다 -_-;; 너 뭐하는 녀석이냐!! 저가 공세를 한 것인가..
3사의 3년간의 손익을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다.
[3사 실적 비교] 명확하다.
3사가 동일한 환경에서 어떻게 이 정도로 다른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까.. 현재 사업을 가장 잘하고 있는 건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삼양통상이다. 유니켐은 매출의 성장세를 바탕으로 한 이익의 증가가 기대(앞으로)되기는 하는데.. 이 회사는 최근 골프장 사업을 한창 하는 중이라서... 본업에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듯싶다.마진이 떨어진 것은 제혁업 외의 다른 사업 때문일 듯. 정리하고 나서 보니.. 삼양통상의 수익성은 혀를 내두를 정도다.. 와우.. 영익률이 30%에 육박(SW 기업이니?)하고 있다. 오히려 너무 높아서 이게 유지가 가능할지가 걱정되는 수준.
이렇게 손익에서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3사는 영업외 자본의 조달 및 사용에도 완전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이 분야는 조광피혁이 제일 우수한 것으로 보인다. 생각보다 글이 길어져서 여기서부터는 다음 글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힘들다. 헥헥.
다음글에서 나오는 삼양통상과 조광피혁의 비교가 핵심이므로(글 제일 아래쪽에 위치함), 여기까지 보셨다면 결론은 꼭 보시길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