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DB를 배우면서.. 집이 아닌 외부에서 DB서버가 돌아갈 필요성을 느꼈다. 그래야 내가 여기저기서 접속할 수 있을테니. 하지만 이 분야에는 까막눈.. 회사를 차리는 것도 아니니.. 최대한 무료로 클라우드에서 가상 서버를 돌리고, 그 위에서 DB서버를 돌려서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보고자 한다. 물론 나중에는 여기서 이것저것 더 추가되겠지? 나 같은 까막눈을 위해서 발자취를 남겨본다.
> 아니.. 무료로 뭐 좀 할라고 했더니.. 애초 회원가입부터 막히네.. 하.. 시간 아까워서 그냥 무료가 아닌 '소액'으로 목표 변경!
본론에 앞서.. 먼저 DNS를 설정하여 db를 접속할 때 숫자가 아닌 도멘으로 접속하고자 한다.
DNS설정하여 도메인명으로 접속하기
우선 가비아에 들어가서 저렴한 도메인을 구매하였다. 공짜 사이트도 있지만.. 그냥 약간의 돈 쓰는게 편하다는 깨달음.. ㅇㅇ 첫해 1900원이네. 다음해에는 갱신되면서 비싸지겠지만.. 그 때 다른 도메인으로 갈아타는 것으로 ㅇㅇ. 귀찮으면 1.9만원 내는거고 뭐.. 가비아 주식이나 사둘껄..
가비아 접속 홈 > DNS설정으로 들어간다. 그러면 현재 본인이 소유하고 있는 도메인이 나오고, 여기서 '설정'을 클릭!
'DNS설정'에서 '레코드 수정' 클릭!
난 이미 연결된 상태인데, 처음 들어가면 아무것도 없다. 여기서 레코드 추가를 클릭하여,
타입: A, 호스트:@, 값: 내 서버의 고정 IP주소, TTL:600, DNS설정으로 저장한다. 그러면 위 그림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후putty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할 때 도메인명을 통해서 접속할 수 있다.
위까지가 내 서버의 고정IP와 도메인을 연결하는 과정이고, 가비아에서 이 둘이 연결된다는 것을 네임서버에 등록하게 된다. 그 등록주기가 TTL이다. 그리하여 추가 후 바로 되지 않는 경우에는 좀 기다리면 되기도 한다. 네임서버에 빨리 등록이 안 되어?
도메인명으로 접속 끝!!
성공!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