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 ~
vi .vimrc
최근 DB를 배우면서.. 집이 아닌 외부에서 DB서버가 돌아갈 필요성을 느꼈다. 그래야 내가 여기저기서 접속할 수 있을테니. 하지만 이 분야에는 까막눈.. 회사를 차리는 것도 아니니.. 최대한 무료로 클라우드에서 가상 서버를 돌리고, 그 위에서 DB서버를 돌려서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보고자 한다. 물론 나중에는 여기서 이것저것 더 추가되겠지? 나 같은 까막눈을 위해서 발자취를 남겨본다.
> 아니.. 무료로 뭐 좀 할라고 했더니.. 애초 회원가입부터 막히네.. 하.. 시간 아까워서 그냥 무료가 아닌 '소액'으로 목표 변경!
저번 시간에 이어.. vi 설정을 하자.. 뭐 중요하지 않으니 대충 보고 핵심 설정만 들고와서 덮어야 쓰것다~ 그런데 색 설정에 젤리빈(어느 블로그가 쓰고 있길래)이 좋아 보이는데.. 사이트 들어가서 다운로드 해야 한다.. 윈도우에서야 쉽지만.. 나의 브랜뉴 클라우드 우분투에서는 어렵다 이말이지!! 검색검색..
아.. 보니깐 vi가 아니라 색이 들어간 확장된 프로그램인 vim으로 하는 것이었다! vim이 설치되어있는지 확인해보니 설치되어 있다.
8.1버전인가 보다. vi를 치면 vim이 실행되도록 설정해주자.
vi /etc/profile
파일 제일 하단에 아래 추가.
alias vi='vim'
추가 후 적용(명령 프롬프트)
source /etc/profile
vim 설정 파일을 열어서 간단한 설정을 하기 전에 jellybean 파일을 다운 받자. 아래는 다음 블로그 참조함.
# https://shary1012.tistory.com/231 참조함.
# jellybeans.vim 다운로드
$ wget https://github.com/nanotech/jellybeans.vim.git
# jellybeans.vim 파일을 /vim의 colors 폴더로 옮김
$ mv jellybeans.vim /usr/share/vim/vim00/colors/.
아니.. wget이 파일을 다운 받아 오는 것은 알겠는데, 다운 받은 파일은 어디 간 것이지?
열심히 찾는 중.. >> 알고보니 현재 폴더에 받는 것이었다.. 아.. 그런데 확장자명이 .git인데? 어쩔? 하.. 다시 git으로 파일 다운 받는 법을 검색검색.. 깃허브에 나와있는 방법을 그대로 써보자..
gh repo clone nanotech/jellybeans.vim
그냥 하니 안 되구요.. gh 명령어가 없다고 한다.. 그러면 설치해보자..
"snap이 뭔지 몰라서 apt-get install gh"를 했는데 안 된다. snap 하라고 나옴. snap을 해보자.. 이건 뭐지?? 뭐시기 뭐시기 안 되구요.. gitsome을 해볼까.. 아.. 뭔가를 깐다.. 그런데 될려나.. 몰라 막 깔다가 안 되면 서버 다시 리셋!!
아.. gh가 깔리기는 했는데 안 되는데.. 후..
아.. git은 또 로긴해서 자기 저장소 만들고 거기에 알아서 다운로드/업로드하는 뭐 그런 서비스 같은데.. gg
난 그냥 mysql을 간단하게 돌리고 싶다고 ㅠ..ㅠ
휴.. 결구 vim의 colors 폴더에 들어간 후 다음 명령으로 다시 시도..
curl -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nanotech/jellybeans.vim/master/colors/jellybeans.vim
[출처] [ vim ] colorscheme jellybeans 설치|작성자 turttle2s
근데 curl이 뭐지.. 몰라 나중에 찾아봐야지 ㅠ..ㅠ 아 찾아봤는데 curl -O 옵션으로 뒤에 나오는 녀석을 파일로 저장해 주는데.. 근데 왜 작동을 안 하지?
아.. wget도 작동을 안해서 왜 그러지 하고 막 찾아보다가 알게된 사실.. jellybeans.vim이 있네?? 아뉘.. 언제부터 있었지.. ?
wget이 왜 안되는지는 나중에 해결하기로하고.. 찜찜하니 재부팅이나 하고ㅋㅋ
자 이제.. .vimrc 파일을 설정해야 하는데.. 원래 다른 사용자는 홈(~)으로 가서 해야함.. root는?? 몰라 얘도 홈으로 가서 해보자. 파일이 없으니 새파일이 열린다. 좋아 보이는 설정으로 대충 갖다 붙이자.
내가 붙인건 아래. (참고. https://shary1012.tistory.com/231)
set hlsearch " 검색어 하이라이팅
set nu " 줄번호
set autoindent " 자동 들여쓰기
set scrolloff=2
set wildmode=longest,list
set ts=4 "tag select
set sts=4 "st select
set sw=1 " 스크롤바 너비
set autowrite " 다른 파일로 넘어갈 때 자동 저장
set autoread " 작업 중인 파일 외부에서 변경됬을 경우 자동으로 불러옴
set cindent " C언어 자동 들여쓰기
set bs=eol,start,indent
set history=256
set laststatus=2 " 상태바 표시 항상
set paste " 붙여넣기 계단현상 없애기
set shiftwidth=4 " 자동 들여쓰기 너비 설정
set showmatch " 일치하는 괄호 하이라이팅
set smartcase " 검색시 대소문자 구별
set smarttab
set smartindent
set softtabstop=4
set tabstop=4
set ruler " 현재 커서 위치 표시
set incsearch
set statusline=\ %<%l:%v\ [%P]%=%a\ %h%m%r\ %F\
" 마지막으로 수정된 곳에 커서를 위치함
au BufReadPost *
\ if line("'\"") > 0 && line("'\"") <= line("$") |
\ exe "norm g`\"" |
\ endif
" 파일 인코딩을 한국어로
if $LANG[0]=='k' && $LANG[1]=='o'
set fileencoding=korea
endif
" 구문 강조 사용
if has("syntax")
syntax on
endif
" 컬러 스킴 사용
:colorscheme jellybeans
이제 다시 vi를 실해해보자.
다른건 적용되는 것 같은데.. 왜 색은 이 모양임? 저 파란색 어쩔겨.. 아.. 뭔가 저 색은 다른 곳에서 변경해야 하는 것 같기도.. morning 을 써도 파란색은 그대로.. 하.. 저 파란색을 바꿔야 하는구나.. 눈 빠지것다.. 아까 수정한 파일에서 다음을 추가함.
vi ~/.vimrc
# 제일 아래에 추가함. 중간에 해도 될지도?
#2번이 녹색으로 잘 보임.
:highlight Comment term=bold ctermfg=2
참고로 색상표는 여기에.
마음의 평화가 찾아왔도다.. 이제 원래 하던거 하자.. 뭘하고 있었더라??
일단 다음편에..